인싸잇=한민철 기자 ㅣ 금융당국이 SK에코플랜트의 매출 부풀리기 의혹에 대한 회계 감리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금융위원회에서 이를 불공정 행위로 인정한다면, SK에코플랜트가 추진하려는 기업공개(IPO)에도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당국이 SK에코플랜트의 매출 부풀리기 의혹을 들여다 보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


21일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회계 전문 자문 기구인 감리위원회는 오는 24일 심의를 열고 SK에코플랜트에 대한 감리 결과를 의논한다. 감리위는 두 차례로 나눠 해당 심의를 개최한다. 1차 심의는 이미 지난주 열렸고, 금주 중 2차 심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SK에코플랜트가 IPO 과정에서 미국 연료전지 자회사인 A사의 매출 및 영업이익을 과대 계상하는 방식으로 연결 재무제표를 허위로 작성·공시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의혹의 대상이 되고 있는 회계 연도는 2022~2023년이다.

이미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부터 해당 의혹에 관한 감리를 벌여왔다. 그 결과 SK에코플랜트의 IPO 과정을 조사해 고의로 회계처리 기준을 위반했다고 판단 내렸다. 회계 위반은 ‘고의’ ‘중과실’ ‘과실’ 등으로 나뉘며, 고의는 형사 고발과 임원 해임 등이 이뤄진다.

금감원은 감리를 통해 SK에코플랜트에 대해 검찰 고발, 전 대표이사 해임, 수십억 원 규모의 과징금 부과를 결정했다.

이에 대해 SK에코플랜트는 미국 자회사의 회계처리는 회계법인의 검토를 받아 처리한 것이며, 회계처리와 IPO는 관련 없다는 입장을 줄곧 밝혀왔다.

금감원의 감리 결과는 감리위원회와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를 거쳐 확정된다. 일부에서는 SK에코플랜트에 대해 중징계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만약 증선위가 불공정 행위로 최종 판단을 내린다면, SK에코플랜트는 현재 추진 중인 IPO 등의 현안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