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한민철 기자 ㅣ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에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4조 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반도체 사업 부진과 일회성 비용 증가, 미국 상호관세 등이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영업이익을 올렸다. 사진=뉴데일리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 600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5.9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와 비교해도 31.24% 감소했다. 또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6조 69억 원을 23.4%나 밑돌았다.

분기 영업이익으로 보면 2023년 4분기(2조 8247억 원) 이후 가장 낮으며, 2분기 기준으로는 2023년 2분기(6685억 원) 이후 2년 만에 최저다.

올해 2분기 매출은 74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09% 소폭 줄었지만, 전 분기 대비 6.49% 감소했다. 매출도 시장 전망치 평균(76조 2119억 원)을 밑돌았다.

사업부별 세부 실적은 이달 말 실적 확정 공시 때 밝힐 예정이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영업이익을 1조 원대로 예상하고 있다. 또 다른 사업부 영업이익 전망치는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사업부 2조 원대, 디스플레이 6000억∼7000억 원, TV·가전 4000억∼5000억 원, 하만 3000억∼4000억 원 등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실적 하락의 원인을 두고, DS 부문의 실적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도 반영되면서 영업이익이 시장 예상을 크게 하회한 것으로 보고 있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2분기 HBM 실적이 계획에 미치지 못했고, 낸드는 전 분기 대비 가격이 하락하면서 적자 규모가 소폭 확대된 것으로 추정한다”며 “파운드리도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의 적자를 예상하며, 6월 이후 급락한 원/달러 환율도 매출과 영업이익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공시한 설명 자료에서 “DS는 재고 충당 및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하락했다”며 “메모리 사업은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같은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개선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 및 출하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첨단 반도체 수출을 금지하면서 비메모리 사업부에서도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메모리 사업은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지만, 개선된 HBM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와 출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2분기 설계를 변경한 HBM3E 12단 제품은 엔비디아 품질 인증을 진행 중이며, AMD 차세대 AI 가속기 시리즈 MI350에 탑재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비메모리사업은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로 판매 제약 및 관련 재고 충당이 발생했으며 라인 가동률 저하가 지속돼 실적이 하락했으나, 하반기는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 축소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미국 관세 영향으로 수익성이 악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은 지난 4월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유예했지만, 캐나다와 멕시코를 제외한 국가들에는 10%의 기본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다음 달 1일부터 한국에 예고한 대로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인상된 관세율이 적용되면 가전, TV 등 수익성은 더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