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유승진 기자 ㅣ KT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2배 이상 증가하며 1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역대 분기 기준 최대 실적으로, 경쟁사인 SK텔레콤의 해킹 사고로 발생한 고객이탈의 반사이익 및 강북 본부 부지 개발 등 부동산 분양 이익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KT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분기 기준 첫 1조 원 대를 돌파했다. 사진=뉴데일리
KT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조 148억 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05.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3.5% 증가한 7조 4274억 원을 기록했다.
KT의 연결 기준 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을 넘은 건 상장 이래 처음이며, 이전 최대치는 지난 2022년 1분기의 6266억 원이었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30.6% 늘어난 4687억 원을 기록했다.
KT는 이번 실적에 대해 통신과 인공지능 전환(AX) 등 핵심 사업의 성장 그리고 강북 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일회성 부동산 분양 이익 등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기반 확대와 번호이동 가입자 순증에 힘입어 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올해 2분기 5G 가입자는 약 1087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3%, 전년 동기 대비 7.7% 늘었다. 이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9.5%에 달한다.
유선 사업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4% 늘었다. 초고속인터넷은 지난 5월 국내 최초로 가입자 1000만을 돌파했다. 관련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1% 늘었다.
미디어 사업은 VOD(주문형비디오) 매출 감소에도 IPTV 가입자 순증 확대와 프리미엄 요금제 이용 증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0.8% 성장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통신과 AI(인공지능)·IT 사업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특히 AI·IT 분야는 클라우드 사업 호조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13.8% 성장했다. 2분기에는 국내 기업의 AX 전환 수요에 적극 대응하며, 대형 고객사 및 IT 기업을 대상으로 잇따라 수주에 성공했다.
부동산 자회사 등 계열사 매출도 전반적으로 성장했다. KT에스테이트는 오피스와 호텔 등 임대 부문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0% 증가했다.
호텔 부문은 연휴 특수에 따른 레저 수요 확대와 프리미엄 객실 중심의 운영전략이 주효하며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KT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사업의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3.0% 증가했다. DC 사업은 글로벌 고객의 코로케이션 서비스 수요가 늘었고 DBO(Design·Build·Operate) 사업 수주 확대 또한 긍정적 역할을 했다. 클라우드 사업은 기업고객 대상 AI 클라우드 매출이 증가했다.
금융 부문에서는 BC카드가 국내 결제 매입액 감소에도 위기관리 강화와 수익성 강화 전략을 통해 전년 동기 수준의 영업이익 수준을 유지했다.
케이뱅크는 여수신의 고른 성장과 고객 기반 확대를 이어가며, 6월 말 기준 고객 수 1400만 명을 돌파했다. 수신 잔액이 전년 동기 대비 22.5% 증가한 26조 8000억 원, 여신 잔액은 10.8% 증가한 17조 4000억 원을 기록했다.
KT는 주주 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2분기 분기 배당은 전년 동기 대비 20% 인상된 주당 600원으로 확정했으며, 오는 14일 지급할 예정이다.
이번 분기부터는 배당 여부와 금액이 사전에 공개되는 ‘선배당 후투자’ 제도를 도입해 투자자들이 배당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배당절차를 개선했다.
장민 KT CFO(전무)는 “통신 본업의 견조한 성장과 그룹 핵심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더해져,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기업 가치 제고 계획도 차질 없이 이행해 KT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