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심중보 기자 ㅣ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이 6·27 대출 규제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량이 70% 이상 감소하는 등 관망세로 접어든 모양새다.
14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27일 정부의 가계 부채 관리 강화방안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최고가 거래는 급감했다.
대책 직전 2주간(6월 13일~26일) 최고가 거래는 총 1141건으로 전체 거래의 24.3%를 차지했다. 하지만 발표 이후 2주간(6월 27일~ 7월 10일)에는 300건(22.9%)으로 74% 감소했다.
대책 발표 전 과열 양상을 보였던 마포·성동·강동구 등에서 거래 급감이 두드러졌다.
성동구는 139건에서 22건으로, 마포구는 137건에서 18건으로, 강동구는 114건에서 23건으로 각각 줄었다. 텐즈힐2단지, 공덕자이,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 등 대단지에서도 최고가 거래가 많이 감소했다.
강남권의 거래 흐름도 유사했다. 강남구는 112건에서 41건으로 63%,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각각 감소했다.
그밖에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등 주요 지역 전반에서 최고가 거래가 줄었다.
이처럼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은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분위기다. 대출 제한 등 강도 높은 규제가 실수요자와 투자자 양측의 매수심리가 축소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최고가 거래가 줄어든 것일 뿐, 가격이 최고가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거래가 활발히 이뤄졌다거나, 실거래가가 급격히 줄어들었다고 단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