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유승진 기자 ㅣ 정부의 6·27 부동산 정책 규제로 전세 수요가 급증하며 서울과 경기도 내 전세 매물이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전세 매물 부족으로 전세 가격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3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경기도 아파트의 전세 매물은 2만 245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7월 초의 2만 5059건에서 약 13% 감소한 수치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22년 7월 이후 가장 적은 물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서울의 전세 매물은 2만 3562건으로 약 12.7% 감소했다. 서울 전세 매물이 지난 2023년 5만 5882건까지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약 3년 만에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전세 품귀 현상에 전셋값도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이 매주 발표하는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경기도 전셋값은 꾸준히 올랐다. 실제로 7월 첫째 주 0.03% 상승을 시작으로 둘째 주 0.02%, 셋째 주 0.01% 상승을 이어갔다.
지역별로 보면 과천시 전용면적 84㎡ 기준 전세금은 2년 전보다 무려 1억 5450만 원(21.9%) 올라 수도권 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양주(19.3%), 구리(17.3%), 화성(16.6%), 시흥(15.4%) 등도 두 자릿수의 상승세를 보였다.
또 서울 아파트의 전세 가격도 7월 말 기준 2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번 전세 매물 감소는 지난달 27일 이후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 이하로 제한한 정부 정책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정부가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막는 등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책으로 수요자들이 전세로 눈을 돌리면서 전세 가격이 덩달아 상승하고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