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유승진 기자 ㅣ 미국 반도체지원법(CHIPS Act)에 의거해 정부 지원을 받아 현지 공장을 짓는 삼성전자 등 반도체 제조기업들의 지분을 미국 정부가 확보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은 19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이와 같은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익명의 취재원 2명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대상이 되는 반도체 제조기업에는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미국 마이크론 등이 포함된다.
지난해 말 미국 상무부가 확정한 기업별 반도체지원법 지원금 액수는 TSMC 66억 달러(9조 2000억 원), 마이크론 62억 달러(8조 6000억 원), 삼성전자 47억 5000만 달러(6조 6000억 원)다.
러트닉 장관은 지난 6월 이러한 지원금에 대해 “지나치게 너그럽다”며 상무부가 재협상을 벌이고 있다면서, 마이크론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는 제안을 해왔다고 전한 바 있다.
로이터 취재에 응한 익명의 취재원 2명은 해당 계획에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참여하고 있지만 주도권을 쥐고 일을 추진하는 것은 러트닉 상무장관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 방안을 마음에 들어 한다고 취재원들은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자국 기업인 인텔에 1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대가로 인텔 지분 10%를 받으려는 계획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나온 바 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인텔 지분 10% 인수 추진을 확인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와 경제적 관점 모두에서 미국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며 “이를 위해 이전에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바이든 행정부는 이들 반도체 제조기업에 지원금을 대가 없이 줬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지원금을 주는 대신 주식을 내놓으라는 것이다.
미국 정부가 이런 방식으로 대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지만, 러트닉 장관은 정부가 인텔의 경영에 개입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