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한민철 기자 ㅣ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향후 모빌리티 산업을 바꿀 핵심으로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과 인공지능(AI)의 융합 그리고 고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뉴데일리


정 회장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유력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모티브 뉴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현대차그룹의 비전과 모빌리티 산업의 방향성 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우선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에 대해 “우리의 가장 중요한 성공 척도는 고객”이라며 “고객 만족이 가장 중요한 지표로, 이런 고객 중심 접근 방식이 우리의 성공을 이끌었고, 앞으로도 우리를 인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 회장은 인간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술 개발이 모빌리티 발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인간의 실질적인 필요를 충족하지 못하는 기술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고객에게 초점을 맞추고, 모든 접점에서 안전과 품질, 가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온 이유”라고 설명했다.

정 회장은 고객 만족을 위한 차세대 모빌리티의 핵심으로 SDV와 AI의 융합을 꼽았다.

정 회장은 “우리는 마력(horse power)에서 처리 능력(processing power)으로 모빌리티 전환이 이뤄지는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며 “전동화가 파워트레인을 재정의했다면, 소프트웨어는 제품 개발과 차량 아키텍처부터 사용자 상호작용과 비즈니스 모델에 이르기까지 밸류 체인 전체를 재정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처럼 차를 만들고 몇 년마다 업데이트하는 방식이 아니라 스마트폰처럼 끊임없이 개선되는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정 회장은 글로벌 파트너십과 관련해 “현대차는 단순히 파트너십을 위한 파트너십은 맺지 않는다”며 “더 빠르게 움직이고, 더 크게 사고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때만 파트너십을 맺는다. 이제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파트너십을 맺고 신차 5종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그는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탄소 중립이 모빌리티 발전에 중요하다며, 이에 대한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밝혔다.

정 회장은 “탄소 중립은 단순한 목표가 아니라 책임”이라며 “2045년까지 탄소 순 배출 제로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수소에 대해서도 “세계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해결책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정 회장은 미국발 관세로 인한 통상 환경 변화와 관련해 “우리의 가장 큰 강점은 민첩성으로, 글로벌 확장과 현지화 전략으로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며 “미국을 예로 들면, 판매지 직접 생산 신념에 따라 제조, 공급망, 철강 생산 등에 2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있고, 직간접적으로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인터뷰는 오토모티브뉴스가 지난 18일 정주영 창업회장과 정몽구 명예회장, 정의선 회장 등 3대 경영진을 ‘창간 100주년 기념상’ 수상자로 발표한 데 따라 서면 형태로 진행됐다.

오토모티브뉴스는 지난 1925년 미국에서 창간된 자동차 전문매체로, 미국 외에도 유럽판, 중국판, 온라인판 등을 발행해 자동차 업계에서 인지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