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백소영 기자 ㅣ 대만을 겨냥한 중국의 압박 강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대만 정부가 개정판 ‘전국민안전가이드’를 발간하고 중국산 앱과 전자기기의 정보 유출 위험을 경고했다.

대만 중앙통신사와 PTS방송, 로이터·AP통신 보도에 따르면 국방부 산하 전민방위동원서는 16일 ‘전국민안전가이드(全民安全指引)’를 개정해 발간했다.

이번 지침서는 총 30쪽 분량으로 구성됐으며, 중국 침공이나 지진·태풍 등 재난 상황에서 국민이 따라야 할 안전 수칙을 담고 있다.

개정판의 가장 큰 변화는 중국 관련 보안 위협을 명시했다는 점이다.

틱톡, 딥시크, 위챗, 샤오훙수 등 중국 앱이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지적했고, 모니터와 영상센서 등 중국 브랜드 전자기기 역시 정보 유출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전시 상황에서 적대 세력이 허위·조작 정보를 활용해 심리전을 벌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구체적으로 “정부가 항복했다”거나 “대만이 패배했다”는 주장은 모두 적이 퍼뜨린 가짜뉴스라는 문구를 추가해 국민 경각심을 높였다.

특히 대만과 중국 간 분쟁이 확산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중요 기간시설과 해저 케이블 파괴로 인한 인터넷 마비 ▲중국의 대만 주변 순찰과 선박 검사 요구 ▲군사훈련을 빌미로 한 항행 금지구역 선포 ▲중국 드론의 대만 영공 진입 ▲양안 간 여객·상업 활동 중단 선언 ▲무력 공격과 침투 파괴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6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기존 판에 수록됐던 ‘대만군과 중국군 복장 식별법’은 삭제됐으며, 개정판에는 적이 아군으로 위장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국민에게 위험지역에서 군 활동을 목격하면 즉시 해당 지역을 벗어나라고 권고했다.

한편, 전국민안전가이드는 2021년 ‘전국민국방수첩’으로 처음 발간돼 2023년에 한 차례 개정됐으며 이번이 두 번째 개정판이다.

대만은 최근 수년간 고조되는 중국의 군사적 압박에 맞춰 지침을 지속적으로 보완해왔다.

선웨이즈 전민방위동원서 물자동원처장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추가할 필요성을 느꼈다”며 “새 가이드북은 위기 대응 인식을 높이고 자체 방어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