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한민철 기자 ㅣ 지난해 최대 실적을 달성한 SK하이닉스의 노조가 올해 첫 임금 교섭에서 8%대 인상안을 제시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기업 노동조합의 임금 인상 요구가 잇따를 전망이다.
SK하이닉스 노조가 올해 1차 임금교섭에서 8.25%의 임금 인상안을 제시했다. 사진=뉴데일리
30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기술사무직 노조와 사측은 지난 28일 이천캠퍼스에서 올해 1차 임금교섭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노조가 제시한 임금 교섭안에 따르면, ▲임금 8.25% 인상 ▲연봉 상한선 상향 ▲차량 유지비 및 유류비 등 통상임금 확대 ▲인사평가 개선 구성원 대상 업적금 800% 보장 ▲초과이익분배금 배분율 상향 및 상한 폐지 등의 요구가 담겼다.
SK하이닉스는 초과이익분배금에 대해 지난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성과 등을 연계해 지급해왔다.
노조는 “과거 외부 요인에 의해 임금 인상이 됐다면 이제 구성원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임금 인상) 수준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사측은 대내외 경영 환경과 보상 경쟁력 수준 등을 포함해 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는 의사를 고수하고 있다.
지난해 SK하이닉스 노사가 최종 합의한 임금 인상률은 5.7%였다. 노조는 당시에도 본래 8%대 인상을 요구했으나, 2022년(5.5%)과 2023년(4.5%)보다 인상률을 소폭 올리는 수준에서 접점을 찾았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을 발판으로 역대 최고인 23조 4673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