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심중보 기자 ㅣ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임대계약 해지를 통보했던 27개점 중 7개점과 임대료 협상 가능성이 있다며, 폐점 억제를 위한 협의에 의지를 보였다.
홈플러스가 폐점 억제를 위한 임대료 협상에 의지를 보이고 있다. 사진=챗GPT
홈플러스는 “임대계약 해지를 통보한 27개점 중 7개점과 추가로 임대료 및 계약조건 조정 합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전체 68개 임대점포 중 48개점과 계약 조정합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5일 밝혔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 4월 부동산 리츠·펀드 운용사들에 공모 상품은 기존 임대료의 30%, 사모 상품은 50%를 각각 인하하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하고 임대료 협상을 벌여왔다.
이 중 41개점에 대해서는 지난달 29일 임대료 및 계약조건 협상을 마쳤다. 그러나 협의를 이루지 못한 나머지 27개 점포 임차주에는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홈플러스는 법원에서 정한 계약 이행 여부 1, 2차 답변시한인 지난달 15일과 31일까지 이들 27개 점포와의 합의를 시도한 바 있다.
홈플러스는 “해지 통보는 해지권이 소멸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조치”라며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한 나머지 점포 임대주들과도 입장 차이가 좁혀진 상태로 조만간 추가 합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하는 점포가 생기면 소속 전 직원 고용을 보장하고 고용안정지원제도를 적용해 인근 점포로 전환 배치하고 새 근무지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격려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홈플러스 노조는 홈플러스가 단기적인 폐점과 자산 매각 중심의 회생 방안을 추진하기보다,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영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또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방식대로 회생이 진행되면 국민연금이 투자한 9000억 원대 자금도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