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심중보 기자 ㅣ 중소기업 3곳 중 2곳이 내년도 최저임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한 조사 결과, 국내 중소기업의 66%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동결 또는 인하해야 한다고 답했다. 사진=뉴데일리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1170개 사(社)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최저임금 관련 애로 실태 및 의견조사’에 응답한 중소기업의 66%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최저임금(시간당 1만 30원)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도 전체의 72.6%를 차지했다.
내년도 최저임금 수준에 대해서는 매출 10억 원 미만 기업의 75.3%, 종사자 10명 미만 기업의 73%가 동결 또는 인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최저임금 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저임금을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도 전년 조사 때 보다 높아진 22.2%로 집계됐다. 이는 내수 부진 등 경영환경 악화로 한계상황에 처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중기중앙회는 설명했다.
조사 대상 중소기업의 64.1%가 경영 상황이 지난해보다 악화했고 답했다.
경영환경을 악화시키는 고용노동 요인으로는 중소기업의 54%가 최저임금 인상을 꼽았다. 이어 사회보험료 인상(37.6%)과 구인난(29.7%) 등이 뒤를 이었다.
최저임금을 감내 수준을 넘어 인상할 경우, 대응 방안을 묻자 중소기업의 45.8%가 ‘인력 감원’ 또는 ‘신규 채용 축소’를 선택했다. 기존 인력을 줄이겠다는 응답 비율도 지난해(6.8%)보다 크게 늘어난 23.2%에 달했다.
시급한 최저임금제도 개선사항으로는 중소기업의 33.2%가 ‘일부 취약 업종에 대한 차등적용’을 1순위로 꼽았고, 31.8%는 결정 주기를 현행 1년에서 2년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매출 10억 원 미만 기업의 38.8%, 종사자 1~9명 기업의 37.2%가 차등적용 필요성을 제기해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이런 요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