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유승진 기자 ㅣ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이 이스라엘의 공격에 동참할지 결정하기 위한 시한에 대해 “2주가 최대치”라고 강조하며, 이란이 모든 핵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협상에 최대 2주 시한을 제시했다. 사진=챗GPT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각) 미국 뉴저지 베드민스터 인근 모리스타운 시립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2주 후 이란에 대한 공격에 나설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란에게 시간을 주고 있다. 나는 2주가 최대치라고 말하겠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주라는 시간에 대해 “그들(이란 사람들)이 정신을 차리는지 보는 시간”이라고 비꼬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을 통해 향후 2주 안에 이란 분쟁 개입 여부를 결정하겠다며, 사실상 2주간의 협상 기한을 부여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2주가 최대치”라고 밝히면서, 이보다 협상 기한이 더 길어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이란의 어떠한 핵 프로그램도 인정할 수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에 일부 우라늄 농축을 허용할 수 있는가”는 취재진 질문에 “그들은 세계 최대 석유 더미 중 하나에 앉아있다. 왜 민간용으로 그런 것이 필요한지 모르겠다”고 설명했다.

우라늄 농축은 미국과 이란 간의 핵 협상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부분이다.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란 영토 내 핵 프로그램의 완전한 폐기를 주장하고 있고, 이란은 민간 원자력발전소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은 허용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이-이 전쟁에 개입하는 상황이 되더라도, 지상군 투입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지상군에 대해서는 논의하고 있지 않다”며 “지상군 투입은 가장 원치 않는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이-이 전쟁에 개입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전망했다.

이어 이-이 전쟁에서 휴전을 이끌어 낼 경우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4~5번은 받았어야 했다”며 “(노벨상은) 진보세력에만 상을 주기 때문에 나에게 주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