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김미연 기자 ㅣ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에 블랙박스 기록 등 사고 조사 자료를 공개를 촉구했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 착륙 중이던 제주항공 여객기가 항행 안전시설에 부딪히면서 탑승자 대부분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한 가운데 지난해 12월29일 오후 사고현장에서 군 장병들과 경찰이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데일리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이하 유가족협의회)는 21일 무안국제공항 2층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공정한 진상 규명을 위해 국토교통부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하라”며 “유가족에게 엔진 손상 부위, 블랙박스 기록 등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유가족협의회는 지난 13일 발생한 에어인디아 787-8 드림라이너 항공기 추락 사고를 언급하며 사조위의 대응을 지적했다.

유가족협의회는 “최근 발생한 에어인디아 여객기 추락 사고에 대해 인도 정부는 참사 3개월 안에 사고 원인 보고서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며 “반면 사조위는 셀프 조사라는 오명을 받으며 지금까지도 유가족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인도네시아와 에티오피아도 예비보고서에 공개하는 비행자료기록장치(FDR)과 음성기록장치(CVR)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것은 유가족을 무시하는 것이며 진실을 은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가족협의회는 사고 조사에 유족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참여권 보장도 요구했다.

유가족협의회는 “철저한 진상 규명을 위해 유가족이 추천하는 조사 위원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참여 권리를 보장해 달라”며 “명백한 진상 규명으로 책임자 처벌과 재발 방지 대책이 실현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전남경찰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수사본부는 국토교통부 공무원과 한국공항공사 직원, 방위각 시설 관련 업체 관계자 등 15명을 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했다고 밝혔다.

앞서 유족들이 지난 5월 고소하며 입건된 박상우 국토부 장관과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한국공항공사 대표 등 15명을 포함하면 모두 24명이 수사 대상 피의자가 됐다.

경찰은 과실 책임의 중대성을 따져 구속영장 신청 여부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