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한민철 기자 ㅣ 이스라엘과 이란이 전격 휴전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국제 유가가 급락하고 있다. 또 미 증시와 환율이 안정세를 보이는 동시에 비트코인도 반등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협정 소식에 국제유가가 하락하는 동시에 비트코인이 반등하고 있다. 사진=챗GPT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8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종가는 23일 기준 전장 대비 7.2% 하락한 배럴당 68.51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이는 이란이 카타르 주둔 미군 기지에 인명피해 없는 제한된 보복 공습을 가하며 주요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란 기대감 커졌고, 특히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국제 유가에 대한 리스크가 해소된 결과로 해석된다.

유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WTI 선물 가격은 한국 시각 24일 오전 8시 39분 기준, 배럴당 65.10달러에 거래되고 있는데, 이는 지난 20일 종가 대비 11.83%나 급락한 수치다.

WTI 선물 가격은 이달 13일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 전 배럴당 65달러 수준이었지만, 무력 충돌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이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국제 시장 비교 대상인 브렌트유 선물 근월물 종가는 배럴당 71.48달러로 전장 대비 7.2% 급락했다.

앞서 월가에서는 이란이 글로벌 원유 주요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을 완전히 봉쇄하고 분쟁이 중동 전역으로 확전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발생할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로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국제유가 급락에 미국 증시가 안정세를 찾아가면서 환율이 하락하는 동시에 비트코인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협상 소식이 들려오자, 이날 한국시간 오전 9시 25분 미국 뉴욕 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선물(+0.49%), 나스닥 100 선물(+0.72%),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선물(+0.42%)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또 2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0분 기준으로 전날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18.2원 하락한 1366.1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은 15.3원 내린 1369.0원으로 출발한 뒤 낙폭을 더 확대했다.

또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23일(현지시간) 오후 4시 22분(서부 오후 1시 22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10만 3213달러에 거래됐다. 24시간 전보다 4.10% 오른 수준이다.

비트코인은 지난 21일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이후 중동 긴장 고조로 약 한 달 반 만에 10만 달러선을 내주면서 9만 8000달러 선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후 가격은 점차 반등해 10만 달러선을 회복했고 10만 4000달러 선을 바라보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각)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을 통해 “약 6시간 후, 이스라엘과 이란이 현재 진행 중인 마지막 작전들을 끝내면 합의가 발효된다”는 글을 게시하며 이-이 전쟁의 휴전 소식을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