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심중보 기자 ㅣ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이 또 크게 올랐다. 21주 연속으로 상승하며 6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값이 21주 연속 상승했다. 사진=뉴데일리


한국부동산원이 26일 발표한 ‘6월 넷째 주(2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43% 올라 21주 연속 상승했다.

이는 지난주(0.36%) 오름폭을 다시 웃도는 수치로,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가장 높은 주간 상승률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성동구가 0.99% 오르며 전체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주 상승 폭(0.76%)보다 더 큰 수치다. 또 마포구(0.66%→0.98%)도 상승 폭이 1%에 육박했다. 성동구와 마포구 모두 2012년 5월 집계 시작 이래 최고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용산구(0.61%→0.74%)도 강세를 보였다. 강남 3구 역시 강남구(0.75%→0.84%), 송파구(0.70%→0.88%), 서초구(0.65‰→0.77%) 등 모두 전주 대비 상승 폭이 커졌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활발하고 매도 희망가격도 높게 형성되며 상승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경기 지역 아파트값도 0.05% 상승했다. 대표적으로 성남 분당구(0.60%→0.67%)와 과천시(0.48%→0.47%)가 상승을 주도했다. 안양 동안구가 0.25%, 인천시도 0.01% 오르며 뒤를 이었다. 반면 입주 물량 부담이 있는 평택시(-0.15%), 고양 일산동구(-0.14%)는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0.06% 올라 전주(0.05%)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수도권(0.13%→0.16%)은 상승세, 지방(0.03%→-0.03%)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세시장도 강남 일부·분당·과천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9% 올라 전주(0.07%)보다 상승 폭이 확대했다. 강동구(0.30%→0.36%), 동작구(0.15%→0.28%), 송파구(0.12%→0.15%), 영등포구(0.14%→0.12%)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수도권으로 확대하면 아파트 전세값은 0.04% 올랐다.

경기에서는 성남 분당구(0.22%→0.67%) 과천시(0.43%→0.47%)가 꾸준히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하남시(0.18%)와 안양 동안구(0.16%)도 강세를 보였다. 인천은 보합(0.00%)으로 전환됐다.

지방 전셋값은 평균 -0.01%로 하락 폭을 유지했다. 세종시는 0.13% 오르며 전주(0.11%)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지만, 대전(-0.10%), 제주(-0.04%) 등은 하락세가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