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잇=한민철 기자 ㅣ 정부의 6·27 부동산 대출 규제로 은행권이 인터넷·모바일을 통한 비대면 주택 담보 대출과 신용 대출을 일제히 중단한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 원 등의 고강도 대출 규제와 별도로 은행권 대출 문턱마저 높아진 것이다.

정부의 주택 담보 대출 규제로 은행권이 비대면 주담대와 신용대출이 일제 중단됐다. 사진=뉴데일리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7일 정부의 수도권 주택 담보 대출 규제 발표로,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은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한 비대면 주택 담보 대출, 신용 대출, 마이너스 통장 대출을 일시 중단했다. 모바일 앱으로만 대출을 취급하는 카카오·케이뱅크 등 인터넷 은행들도 사실상 관련 대출 취급을 중단했다.

이중 우리은행, NH농협은행, iM뱅크는 모든 가계 대출의 비대면 접수를 무기한 중단했다. 지방은행인 부산은행과 경남은행도 비대면을 통한 신용 대출과 수도권 주택 구입 목적의 주택 담보 대출, 광주은행은 주택 담보 대출과 전세 대출의 비대면 접수를 중단한 상황이다.

이어 카카오뱅크는 주택 담보 대출, 신용 대출, 마이너스 통장 대출의 신규 접수를 중단했고, 케이뱅크도 주택 담보 대출을 일시적으로 막았다.

앞서 정부는 지난 27일부터 수도권 주택 담보 대출 한도를 최대 6억 원, 신용 대출 한도는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는 등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를 발표했다.

갑작스러운 정부의 고강도 규제 발표에 은행권도 당황해하는 분위기다. 금융당국은 30일부터 비대면 대출을 취급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지만, 각 은행들이 비대면 대출을 재개하는 데 최소 일주일 이상이 걸릴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은행마다 정부의 새로운 규제를 내부 대출 심사 시스템에 반영하는 전산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향후 은행권이 자체적으로 대출 총액을 더욱 줄이고, 신규 대출을 더욱 까다롭게 심사할 가능성도 커졌다. 금융당국이 올 하반기 가계 대출 총량 목표치를 기존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이번 대출 규제로 인해 월간 가계 대출 증가 폭이 3∼4조 원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 가계 대출 월간 증가 폭은 7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에 당분간 급전 대출을 받기 위한 소비자들이 불편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